2016.9.10. 뮤지션들.

지진계 2016. 9. 10. 17:08



1. 박근쌀롱.


2. AFuzz.


3. 선우정아


4. 신해철.


5. Fourplay


6. 윤석철 트리오.


7. 박정현.


8. Brian Culbertson.


9. Dirty loops.


10. Sonny Rollins. 테너 색소폰을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서, 발라드를 한다면 소니 롤린스의 톤을 가지고 싶다. 안개 낀 새벽, 벤치와 가로등이 줄지어 선 교욋길.



11. 밴드 치즈. 민기의 추천. 건반과 색소폰.

'지진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놉시스. 스케치 하나.  (0) 2016.09.16
7월 末, 「채식주의자」  (0) 2016.09.16
8.25.  (0) 2016.08.25
「4월은 너의 거짓말」 1권 中  (0) 2016.07.11
일기 정독 중.  (0) 2016.07.10
Posted by 습작생
,

8.25.

지진계 2016. 8. 25. 19:32



바쁘다는 핑계를 대고 싶다는 것은 이미 충분히 바쁘다는 뜻이다.

'지진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末, 「채식주의자」  (0) 2016.09.16
2016.9.10. 뮤지션들.  (0) 2016.09.10
「4월은 너의 거짓말」 1권 中  (0) 2016.07.11
일기 정독 중.  (0) 2016.07.10
판타지  (3) 2016.06.12
Posted by 습작생
,

「4월은 너의 거짓말」 1권 中


"마음이 끌리는 애한테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 건 당연한 일이야. 사랑을 하고 있으니까 그 애는 반짝이고 있는 거라구. 그러니까 사람은 불합리하게 사랑에 빠지는 거야."

'지진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9.10. 뮤지션들.  (0) 2016.09.10
8.25.  (0) 2016.08.25
일기 정독 중.  (0) 2016.07.10
판타지  (3) 2016.06.12
이다Ida  (0) 2016.06.05
Posted by 습작생
,

일기 정독 중.

지진계 2016. 7. 10. 13:49




16. 1.14.


   노에마noema. 한 순간 대상을 새롭게 보고 나를 이입시키는 사유작용.


   11:45.


   햇살이 비쳐 들어오는 컨테이너 안에서. 기숙사나 학교 서문에 살던 때, 늦잠을 자고 일어나면 방 안까지 들어와 나를 기다리고 있던 햇살을 기억한다. 그걸 꽤 좋아했었다. 고요하고, 평화롭고, 시계가 째깍거리고. 아무것도 하지 않고 뭔가에 대한 의지가 생길 때까지 계속 뒹굴거리곤 했다.

   그건 '대상 없는 향수'가 충족되는 느낌이었다고 쓰겠다. 어떻게든 시간은 흘러가고, 거기서 튕겨나가 미아가 되지는 않을 거라는 어떤 확신이나 안도감이라고도 쓰겠다. 시간의 흐름이 그 햇빛과 온도로 육肉화하는 것, 피부와 냄새까지 동원해 그것을 온전히 느끼는 일. '닻'에 대한 이야기.


   하나 더. 어릴 적, 주말 같은 날에 늦잠을 자고 있으면 엄마가 내 옆에 와 누웠다. 그러고 한참을 같이 반쯤 자다가, 일어나자, 하고 엄마는 내게 속삭이곤 했다. 서로 먼저 일어나라고, 먼저 일어나면 같이 일어나겠다고 티격태격하다가 결국 하나, 둘, 셋 하면 동시에 일어나기로 한다. 하지만 셋을 세고도 약속이라도 한 듯 아무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고 그저 웃는다.

   영원히 뒹굴거릴 수 있을 것만 같은 행복. 영원에 대한 기분 좋은 상상은 우리가 시간 속에 살고 있다는 증거다. 동시에 시간 밖으로 튕겨나가는 일은 없을 거라는 약속이다. 그러니까 다시, 어떤 '닻'에 관한 이야기.






1.15.


   불침번 근무를 마치고 들어와 침낭 속에서 쓴다. 추운 밤에 혼자 컨테이너 앞을 걸어다니는 일은 생각보다 녹록치 않다. 춥지라도 않으면 좀 나으련만.

   외로울 때도 있고 아닐 때도 있다. 외로울 때면 추억들을 땐다. 선명하지는 않다. 뭐랄까. 뼈같다. 조문이라도 하듯, 죽고 없어진 시간들을 떠올린다. 그 때 어땠는지는 상상해야 한다. 가끔은 그게 더 외로울 때도 있지만, 어쨌거나 내가 시간 위에 있다는 것, 현재만으로 살아가지는 않는다는 것, 삶이 '0초'가 아니라는 것에 조금 덜 외로워진다.





1.18.


   내가 사진을 좋아하는 이유는, 사라지는 것들에 아무래도 미련이 남아서다. 태어나는 순간 죽어버리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다. 모든 사진은 태생적으로 영정사진이다. (영정사진이 묘한 아우라를 가지는 게 그래서다. 동어반복적 제스처.)

   이것은 죽고 없습니다. 당신이 보고 있는 것은 유령입니다. 나는 추모합니다. 저렇게 사라진 것들, 사라지고 있는 것들, 사라질 것들을.





1.21.


   이야기가 고여 있는 사람들이 있다. 어쩌면 소용없는 게 아닐지도 모르겠다. 타자의 세계를 우리가 '먼저' 알 방법은 없지만, 상대 쪽에서 먼저 열어 보여주는 것, 진정한 의미에서의 소통이 시작되고 나면, 어쩌면 그 때부터는 소용없는 게 아닐지도 모르겠다.

   애초에 세상이 글 한 편으로 요약될 수 있는 건 아니니까.





'지진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8.25.  (0) 2016.08.25
「4월은 너의 거짓말」 1권 中  (0) 2016.07.11
판타지  (3) 2016.06.12
이다Ida  (0) 2016.06.05
에드워드 툴레인의 신기한 여행 中  (0) 2016.05.22
Posted by 습작생
,

공부할 준비.

공부 2016. 7. 9. 17:49



1. 경제학 책들. ( <경제e> 참고 )



A.Smith 국부론, 도덕감정론

도메 다쿠오, <지금 애덤 스미스를 다시 읽는다>

조지프 스티클리츠 外, <GDP는 틀렸다>

제윤경 外, <약탈적 금융사회>

애덤 테블,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니컬러스 웝숏, <케인스 하이에크>

양동휴, <대공황 시대>

제임스 리카즈, <커런시 워>

한재준, "아베노믹스와 환율전쟁, 한국경제에 대한 시사점", <주간하나금융포커스> 제3권 24호

이사야 벌린, <카를 마르크스>

마르크스, <자본>, <공산당선언>

토드 부크홀츠,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케인스, <일반이론>

로버트 스키델스키, <흔들리는 자본주의 대안은 있는가>

이정우, <불평등의 경제학>

정원오, <복지 국가>

이창곤, <복지국가를 만든 사람들>

Posted by 습작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