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지

지진계 2016. 6. 12. 17:11



1.


   군생활이 너무 스트레스여서, 판타지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스트레스는 사실 핑계고, 이전부터 한 편은 정말 제대로 쓰고 싶었다. 판타지보다 순문학을 쓰는 게 더 즐겁지만, 판타지로밖에 할 수 없는 이야기가 있다. 그리고 가끔은 내가 지은 세계 안에 웅크리고 있는 게 큰 위안이 된다. 이쪽과 저쪽 사이에서 균형을 잃으면 문제겠지.


2.

   김연수가 <밤은 노래한다>에서 이런 비슷한 얘기를 했다. 딱 하나만 간절히 바라면, 세상은 그걸 이루어 준다. 세상은 그렇게 돼 있다. 너무 매혹적인 이야기.

   내 이야기도 그런 이야기다. 내가 판타지 소설을 싫어하는 건 아무런 의미 없이 재미만을 위해 쓰여진 (해당 작가들은 반발할지도 모르겠지만) 웹소설 류에 한해서다.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나니아 연대기는 나도 좋아한다. 문제는 판타지가 아니라 망상을 써내려간 소설들이다.

   '마법'이라는 소재가 그렇다. 왜 마법사는 항상 주문을 외는가? 주문 그거 오글거리지도 않나? 시전 시간을 누가 기다려 주지? 서클은 또 뭐고? 차라리 레벨 업이라고 하지. 식상하고 의미 없다.

   딱 하나만 간절히 바라면, 세상은 그걸 이루어 준다. 어릴 때부터 내가 상상했던 마법은 이런 거였다. 멋진 (오글거리는) 주문이나 시전 동작, 마법진이 아니라 한 사람의 열망만으로 이루어지는 일들. 마법사는 매 순간 매사를 누구보다 강하게 열망할 수 있는 존재겠지. 그건 정말 어려운 일이다. 그리고 멋진 일이다. 내가 뭘 원하는지도 모르는 때가, 또 그런 사람이 태반인데. 그런 마법사들이라면, 싸움도 정말 처절하게 하겠지. 더 이기고 싶은 사람이 이기게 돼 있는 싸움.


3.

   좋은 판타지는 스스로 판타지에 대한 반성을 포함하고 있다. 라는 말을 어디서 주워들은 적이 있다. 여기서 '반성'이라 함은, 내 생각에는 현실을 향한 선명한 화살표다. 그거면 되지. 해리 포터에는 사랑과 용기가 있었고, 반지의 제왕에는 투지와 낭만이 있었으며 나니아 연대기에는 순수와 정의가 있었다.

   내가 하고 싶은 질문은 이거다. 사람들은 어떻게 보면 참 보잘것없는데, 세상은 사람들에 의해 어떻게든 굴러간다. 그 추진력은 어디에 있냐는 거다. 찾아 보면 수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를 고민했다. 그 중에 내가 가장 좋아하는 답은 '욕망'이다. 세상은 제각기 다른 것을 멋대로 열망하는 존재들의 벡터 합이다.

   그렇다면 세상을 '더 나아지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러니까, 어떤 욕망인가. 사람의 욕망이, 사람의 힘이 세상을 더 나아지게 할 수 있는 걸까.

   결국 이건 내 나름대로는, 세상이 더 나아질 수 있는가, 라는 질문과도 같다. 세상이 욕망의 벡터합이라면 그 성분들의 분석이 곧, 앞으로 세상이 나아질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될 수 있겠지.


4.

   옴니버스 + 피카레스크 식의 구성을 생각하고 있다. 나는 전체가 아니라 파편들을 이야기하고 싶다. 사람의 욕망은 적분될 수 없으니까. 무수히 많고 무질서한 벡터들의 화학반응. 그걸 하나하나 들여다보는 일이다.


5.

   다 쓸 수 있을지나 모르겠다. 전역하기 전에 네 편은 쓰고 싶다. 다섯 달 남았다. 재밌었으면 좋겠다. 지금도 이야기들이 막 돋아나고 있다. 흥미본위 판타지들을 그렇게 욕했는데, 똑같은 결과물이 나오면 스스로 정말 실망할 것 같다.

   오글거리지만 않게 해 주세요.




'지진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은 너의 거짓말」 1권 中  (0) 2016.07.11
일기 정독 중.  (0) 2016.07.10
이다Ida  (0) 2016.06.05
에드워드 툴레인의 신기한 여행 中  (0) 2016.05.22
좌표  (0) 2016.05.22
Posted by 습작생
,

벙어리장갑

2016. 6. 12. 09:44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이다Ida

지진계 2016. 6. 5. 12:04



   엔딩크레딧이 다 지나갈 때까지 멍하니 스크린을 바라보게 만드는 영화가 있다. 그런 면에서 이다ida(2013)는 참 오랜만이었다.


   이다의 수녀원과 (담배와 술과 공산당, 창녀와 재즈가 있는) 속세가 묘하게 교차한다. 대비가 아니라 교차다. 흑백 색감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이다는 그 어느 곳으로도 가지 않고 교차각 사이 어딘가로 비틀거리며 걸어갔다. 전후의 60년대 폴란드는 그런 면에서 더없이 좋은 무대였다고 본다. 여느 전후의 도시들처럼, 너무 많은 것들이 무너져 있는 곳이었을테니까. 지금과 다를 바 없지만 좀 더 가시적인 배경.


   '뿌리가 없는' 이다의 좌표는 그래서 절절하다. '왜 나만 살아남은 거죠?'라고 묻는다는 것은, '굳이 내가 살아가야 하는 이유가 불충분하다'는 뜻이다. 이건 부모님을 살해당한 전후의 한 소녀에 그치는 이야기가 아니다. 그런 상징적인 삶이 아니더라도, 이건 인간에게 대대로 물림되는 불안이다. 우리는 의사와는 상관없이 내던져지고 무언가를 선택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도시의 스케치는 인상깊다. 담배가 있고 술이 있고 창녀가 있으며, 재즈 음악과 색소폰이 있고 사랑도 있다. 흑백 화면이 주는 퇴폐감은 강렬하다. 하지만 낭만적인 색채도 강렬하다. 이다의 이모 완다는 이다를 데리고 다니며 그런 낭만을 보여주려 한다. 하지만 완다 스스로가 무너져가고 있듯이, 도시에서 중요한 건 낭만도 퇴폐도 아니다.


   '그 다음은? 그 다음은요?'


   엔딩씬은 길을 걷는 이다Ida. 걸어가는 이다.


   이다가 어디로 걸어갔는지는 모른다. 그저 그 다음은, 그 다음은, 물으며, 그 다음을 위하여.

뿌리가 없다는 것은 반대로 온전한 '내 삶'을 누릴 수 있다는 뜻이다. 경험해 보지 않으면 선택할 수 없다. 후반부에서 이다가 완다가 '되어 본' 것은 그런 의미에서다. 타자의 영역에 발 내딛기. 그 다음은? 그 다음은? 정체되지 않는 일. 수녀원에서 기도하는 삶도 아니고 도시에서 소모되어 가는 삶도 아니고, 계속해서 길을 걷는 일.


   (완다와 이다의 엇갈린 선택에 대해 생각한다. 둘이서 찾아낸 같은 진실 앞에서, 완다는 슬픔을 이기지 못해 자살했지만 이다는 완다가 되어 보기까지 했으나 자살하지 않았다. 그 다음은, 그 다음은, 계속해서 질문했을 뿐이다. 우울과 증오, 적의에 잡아먹히지 않기. 삶을 찾아오는 거대한 고독과 슬픔과 불안 앞에서, 그 다음은요, 그 다음은요? 묻는 일.)


   엔딩 씬의 hand-held 기법은 그래서 선명하게 남았다. 카메라 구도에서 절절함이 느껴지는 것은 드문 일이다. 

'지진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기 정독 중.  (0) 2016.07.10
판타지  (3) 2016.06.12
에드워드 툴레인의 신기한 여행 中  (0) 2016.05.22
좌표  (0) 2016.05.22
들꽃들 꽃나무들  (0) 2016.04.16
Posted by 습작생
,

188~189 p.


   나이 많은 인형이 말했어요.

   "이번에는 누가 날 데려갈까 궁금해. 누군가가 올 거야. 누군가가 항상 오니까. 이번에는 누굴까?"

   "누가 날 데리러 오든 난 신경 안 써."

   "하지만 그건 끔찍해. 네가 그렇게 생각한다면 사는 의미가 없잖아. 의미가 없어. 기대를 가져야지. 희망을 가져야 하고. 다음에는 누가 널 사랑하고 네가 누구를 사랑하게 될지 궁금해야지."

   에드워드가 말했어요.

   "난 사랑을 받아 봤어. 사랑은 끝이야. 아주 고통스러워."

   "흥, 용기는 모두 어디로 간 거야?"

   "다른 어딘가에 있겠지 뭐."

   "넌 날 실망시키는구나. 날 아주 실망시켜. 네가 사랑하거나 사랑받을 생각이 전혀 없으면 어떤 여행도 무의미해. 넌 지금 당장 이 선반에서 뛰어내려서 수백만 조각으로 부서지는 게 낫겠다. 끝내 버려. 지금 끝내 버리라고."




//


푹푹 찔린다. 동화가 이렇게 찌르고 들어온다는 건 내가 아직 어리다는 걸까 자라고 있다는 걸까.

'지진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타지  (3) 2016.06.12
이다Ida  (0) 2016.06.05
좌표  (0) 2016.05.22
들꽃들 꽃나무들  (0) 2016.04.16
기형도, 「입 속의 검은 잎」  (0) 2016.03.05
Posted by 습작생
,

좌표

지진계 2016. 5. 22. 09:20




내 좌표 찾기. 벡터를 위하여.


(신형철의 2010년대 시 비평을 읽고)

'지진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다Ida  (0) 2016.06.05
에드워드 툴레인의 신기한 여행 中  (0) 2016.05.22
들꽃들 꽃나무들  (0) 2016.04.16
기형도, 「입 속의 검은 잎」  (0) 2016.03.05
김경주 인터뷰  (0) 2016.02.14
Posted by 습작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