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즘

공부 2016. 2. 24. 19:36

시에 있어서 이미지는 본질적이고 근원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특히 그것을 표현 기법의 중요한 항목으로 인식하고 그러한 방향으로 창작을 이끄는 문예사조를 이미지즘이라고 한다. ... 이 사조는 흄(T. E Hulme)의 반낭만주의 사상과 파운드(E. Pound)의 고전주의 시론이 모체가 되어 1910년대 영미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 그리고 이미지즘의 철학적 토대를 마련한 사람은 흄이었다.


흄은 시에서 지성작용을 중시하고 객관성을 강조하며, 명료하고 견고한 이미지(dry and hard image)가 중심이 돼야 할 것을 주장한다. 낭만주의에서 나타나는 감정과 눈물이 넘치는 흐릿하고 '축축한'(damp)시가 아니라 대상을 객관적으로 냉정하게 묘사하는 '메마른 견고함'(dry hardness)의 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낭만주의 시가 생명적 예술로서 '아름답다', '슬프다'로 서술되는 것이라면, 이미지즘 시는 기하학적 예술로서 '간결하다', '뚜렷하다'로 표현되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메마른 견고함'이 흄의 이미지즘의 본질을 이룬다. 그는 시의 3대 목표를 정확하고, 정밀하고, 명확한(accurateprecisedefinite) 진술이라고 못박고 이를 위해 명료하고 견고한 이미지를 추구해야 한다고 했다. 따라서 시어도 이러한 이미지 창출을 위해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언어를 선택해야 하는 것이다.


이어서 1915년 로웰이 주재한 『이미지스트 시인선집』에서 이미지즘의 6개 강령이 채택되면서 이미지즘 운동이 본격화되기에 이른다. 6개 강령은 ① 정확한 일상적 언어의 사용 ② 새로운 감정에 맞는 새로운 운율 ③ 자유로운 제재의 선택 ④ 구체적이고 정확한 표현 ⑤ 견고하고 명확한 시창작 ⑥ 대상에의 집중 등이 그것이다. 이와 같이 그들은 정확한 시어, 구체적 사실, 명확한 표현, 자유로운 제재 선택, 대상에의 집중 등을 중시했던 것이다. 다시 말해 대상을 직접 다루어 통일성 있는 이미지의 조형에 도움이 되는 언어만을 구사하려 했던 것이다.


이러한 영미의 이미지즘 운동은 1930년대 한국에 수용되어 김기림, 정지용, 김광균 등에 의해서 모더니즘 운동의 일환으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30697&cid=41799&categoryId=41800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트모더니즘  (0) 2016.02.24
모더니즘 시  (0) 2016.02.24
러시아 형식주의  (0) 2016.02.23
낭만주의 문학  (0) 2016.02.23
신형철의 미래파 비평 하나  (0) 2016.02.21
Posted by 습작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