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블로그 보다가 옛날에 쓴 감상편 하나 발견하고 가져왔다.

지금 이렇게 쓰라면 못 쓸 것 같다. 

2011년 주의!

 

 

 

 

 

 

 

 

          처음 작품을 보고 “유령”의 이미지가 그려졌다. 모호한 경계선과 추상적인 질감으로 묘사된 이 그림은 초상이라기보다는 글쓴이의 말처럼 한 폭의 ‘추상화’에 가까웠다. 유령을 떠올리게 된 것은 괜한 기분 탓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흑백 명암으로만 처리된 불확실함, 정의될 수 없는 액체성이 흐릿한 초상을 지배하고 있었고, 그것은 단지 작품이기만 했던 것이 아니라, 어느 것 하나 확신할 수 없는 우리의 유령과도 같은 존재성을 담아낸 상징이었다.

 

          박광성 화백의 이 작품은 <실존과 소유>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실존하는가, 실존한다면 소유하는가, 소유한다면 무엇을 소유하는가. 저 흐릿한 실루엣 한 폭에 실존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녹아 있다. 그림의 실루엣은 마치 사라지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유령처럼 보인다. 흐릿한 검은색 속으로 묻혀 들어가는 중임에도 불구하고, 남아 있는 창백한 살갗을 통해 마지막까지 ‘존재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화백은 우리가 이 유령과도 같이 살아간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어릴 때 읽었던 단편 소설 한 권이 기억난다. 책의 주인공이 교통사고로 죽고 유령들과 함께 지내며 겪는 일들에 대한 이야기였는데, 그 책을 꿰뚫고 있던 키워드는 ‘기억과 존재’였다. 소설 속 유령들은 그들을 기억하는 사람이 줄어들면 점차 흐릿해지다가 결국 소멸한다. 그들에게 있어서 계속 존재한다는 것은 이승과 자신을 연결해 주는 끈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었다. 그들의 존재가 부정당했을 때, 그들이 잊혀 졌을 때에야 그들은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우리는 저 유령들처럼, 살기 위해서, 아니 사라지지 않기 위해서, 존재하기 위해서 안간힘을 쓰며 살아간다. 살아감에도 불구하고 실존하지 못함을 두려워한다는 것은 우리가 직면한 가장 슬프고 명백한 딜레마다. 생각해 보면 우리가 존재하는 것에 이유는 없다. 우리의 실존은 정당화되지 못한다. 우리는 그저 부유하는 흐릿한 유령에 지나지 않을 수 있다. 모두가 그렇게 되지 않으려 유와 무 사이에서 존재를 건 줄타기를 한다. 그러나 슬프게도 그림의 흐릿한 얼굴은 이미 지워져버린 존재들을 대표하며 검은 그림자 속에서 우리를 응시하고 있을지도 모르는 노릇이다.

 

          소멸되기를 저항하는 저 얼굴이 우리의 삶을 대변한다. 사람이 살아오면서 겪은 시간이 담긴 역사서가 얼굴에 드러나 있다면, 그렇게 존재하려고 애쓴 흔적, 사라지지 않으려 세상에 발버둥친 자국, 그래서 조금씩 잊혀져갈 수밖에 없었던 소멸의 상흔 또한 우리의 얼굴에 담겨 있을 것임을, 저 흐릿한 얼굴이 절박하게 외치고 있다.

 

          삶은 결국 저 얼굴을 다시 분명하고 뚜렷하게 만드는 작업이다. 아무런 이유가 없는 삶, 아무런 근거도 없는 목적을 향해 흘러가야 하는 삶일 테지만, 우리가 그 속에서 간직해야 할 얼굴은 저런 흐릿하고 불분명한 얼굴이 아니다. 어둠 뒤편으로 사라지지 않으려 애쓰는 그림 속 실루엣의 절박함이 어쩔 수 없는 우리의 일부일지도 모르지만, 우린 대신 의미 있는 다른 장면들을 저 새카만 구멍에 밀어 넣을 수 있다. 어차피 우리의 얼굴은 우리가 살아온 날들로 구성된다. 그 얼굴들을 의미 없는 공허함으로 남겨 유령으로 소멸해 갈지, 그 자리에 빛을 비추어 존재하지 않던 것마저 실존할 수 있도록 의미 있는 것들을 간직할지는 전적으로 개인에게 달려 있는 것이다.

 

 

2011.1.21.

Posted by 습작생
,